청주 구녀산성 썸네일형 리스트형 청주 구녀산성(구라산성) 더보기 청주 낭비성 : 신라군이 드디어 금북정맥을 넘어 미호천에 이르다 486년 신라군은 상주에서 화령(백두대간)을 넘어 삼년산성을 수축하고 본격적으로 서진(백제 공격)과 북진(고구려 공격)을 준비한다. 특히 낭비성은 신라군의 북진과 관련하여 중요한 산성이다. 당시 신라군의 북진로는 삼년산성~노고산성(보은읍 산성리)~주성산성(보은군 내북면 창리)~낭성(청원군 미원면 성대리)과 돌봉산성(미원면 성대리)~구라산성(혹은 구녀산성으로 불리며 청원군 미원면 대신리 금북정맥인 이티고개 동북방에 소재)~낭비성(청원군 북이면 부연리)과 할미성(북이면 영하리)으로 이어져 미호천의 지류인 보강천 남안에서 고구려와 대치하게 되었다. 또한 고구려도 부도인 국원성(지금의 충주) 즉 남한강 유역에서 음성과 괴산을 거치며 금북정맥을 넘어 미호천의 지류인 보강천 상류로 지향하고 있었다. 증평군 도안면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