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주 장미산성

충주 장미산성(2) 더보기
충주 장미산성(2) : 북부여가 반도의 중심부에 부도인 국원성을 건설하다 정상 가는 산책로  정상의 성벽까지 참호는 이어진다.      정상에도 민묘 1기   서남쪽 괴산 방면의 속리산 줄기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보이고 그 뒷산은 평풍산 줄기. 우측 뒷산은 국망산(770.3m)~보련산 줄기임.   좌측 산이 파헤쳐진 곳은 충주 기업도시(지식기반형) 예정지이고 우측 산이 평풍산.   장미산성 안내판   장미산성은 장미산 산정을 중심으로 석축한 포곡식 산성이다. 둘레는 2,940m로서 상당한 규모의 고구려 계통의 산성이다.        삼각점   산정에서 동쪽을 바라 본 모습   장미산성 아래 동쪽으로는 남한강이 흐른다.   서북 방향의 보련산. 장미산성에는 전설이 내려온다. 삼국시절 보련산 서쪽 가마골에는 '보련'과 '장미'라는 오누이가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고 한다. 타고난 장.. 더보기
충주 장미산성(1) : 북부여가 반도의 중심부에 부도인 국원경을 건설하다 에 따르면, "중원경(中原京)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국원성(國原城)이었는데 신라(新羅)가 이를 평정하였다. 진흥왕(眞興王)이 소경(小京)을 세우고 문무왕(文武王)때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2592보였다. 경덕왕(景德王)이 중원경(中原京)으로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은 충주(忠州)이다."라고 하였으며, 또 "국원성(國原城)-미을성(未乙省)라고도 하고 탁장성(託長城)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에 따르면, "문무왕 13년 가을 9월에 국원성(國原城)[옛날의 완장성(薍長城)이다], 북형산성(北兄山城), 소문성(召文城), 이산성(耳山城), 수약주(首若州)의 주양성(走壤城)[또는 질암성(迭巖城)이라고도 하였다], 달함군(達含郡)의 주잠성(主岑城), 거열주(居烈州)의 만흥사산성(萬興寺山城), 삽량주(歃良州)의 골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