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성기행(경상도)

의성 비봉산 : 산성의 흔적을 찾아서 의성군 다인면 일대도 고대 가야 폴리스의 하나인 조문국의 영토로 비정된다. 다인면 들판은 비옥한 충적지로 조문국의 식량 생산지로 기능했을 것이다. 다인면 비봉산은 이 일대를 감제하는 산성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규모는 짐작할 수 없다. 더보기
구미 금오산성 더보기
군위 위성리산성 더보기
김천 감문산성 더보기
합천 당산성 : 가야 고성으로 신라 삼지현(마장현)의 초기 치소 더보기
합천 백악(백학)산성 : 신라 삼지현(마장현)의 치소 신라가 가야 땅이던 삼가 일대를 점유하고 얼마간 삼지현의 치소로 이용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다가 백제와 신라 간의 영토 전쟁이 격화되자 이곳 백악산 산정으로 치소를 옮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옛날에는 백악산으로 불리다가 최근 백학산으로 이름을 정정한 것 같다. 그래서 백학산성으로도 불린다. 더보기
김천 고성산성 : 신라 금산현의 치소 더보기
거창 분산성 : 신라 거열군(거타군)의 치소 더보기
상주 월로리산성 : 신라 음리화현의 치소 더보기
성주 할미산성 고향길에 시간이 남아 성주 할미산성을 답사했다. 할미산성 가는 길은 칠봉지맥 상에 있어 비교적 쉽게 접근했다. 칠봉지맥은 백두대간~수도지맥~금오지맥의 염속봉산에서 분기하여 서쪽으로는 회천, 동쪽으로는 백천과 낙동강을 가르며 남쪽으로 치달으며 회천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맥을 다한다. 칠봉지맥은 고대에는 성산가야(지금의 경북 성주)와 대가야(지금의 경북 고령)의 자연 경계선으로 기능하며 곳곳에 가야인들의 산성을 남겼다. 성주 할미산성과 고령 의봉산성이 대표적인 칠봉지맥 상의 산성이다. 성주 할미산성은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봉수편"의 설명에는 보루성 같은 느낌이었으나, 답사 후 둘레가 1000m 내외의 비교적 규모가 큰 산성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테뫼식이 아니라 가파른 동쪽 계곡으로 열린 .. 더보기
안동 풍악산성 : 신라 하지현의 치소 더보기
예천 흑응산성 : 신라 수주군의 치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