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기행(경상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상주 남산고성 : 고령가야국의 도성이자 신라 고동람군의 치소인가? 더보기 상주 이부곡토성 : 고대 사벌국의 왕성인가? 더보기 김천 속문산성(백운산성) 송북리(松北里)는 감문면소재지로부터 북쪽으로 8㎞ 거리에 있는 산간오지로 북쪽은 삼두봉, 서쪽은 속문산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다. 송북(松北)이라는 지명은 1914년 송문과 성북마을을 통합하면서 등장했는데 송북의 송(松)자와 성북의 북(北)자를 따서 만든 지명이라고 한다. 송문(松門)은 마을주변으로 소나무가 많아 소나무 숲에 들어가는 입구 즉, 대문에 해당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라고 하며 성북(城北)은 속문산성의 북쪽에 마을이 있음으로 해서 붙은 지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송북1리는 송문과 안송문으로 나눠져 있는데 조선중엽까지는 속문산성(俗門山城) 아래에 마을이 있어 산성이름을 따서 속문리(俗門里)라 했다. 안송문, 중기리, 외송문 등 세 마을로 나눠져 있었는데 중기리는 폐동이 됐다. 1971년 송북2리로 분.. 더보기 김천 고소산성 : 신라 금물현의 치소 작년(2019년 2월 17일) 속문산성(백운산성) 답사시 고소산성은 대략적으로 눈도장하고 답사 기회를 미뤘다. 그러다가 2020년 11월 7일 드디어 고소산성 답사에 나섰다. 하지만 실패였다. 하여 답사 실패에 대한 반성을 하고 다음에 고소산성 답사를 마무리하기로 결심하고 하산했다. 고소산성 감문면 문무리와 어모면 구례리와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365미터의 고소산(姑蘇山), 일명 성산(城山) 정상부로부터 50여미터 아래에는 남북으로 길이 7백미터에 달하는 허물어진 석성이 남아있는데 멀리 속문산성과 마주보는 형국을 하고 있다. 석성의 대부분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나 일부는 높이 5미터에 달하는 거의 완벽한 형태의 성벽이 곳곳에 남아있으며 골짜기의 형태를 그대로 살려 정밀하게 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 더보기 군위 성제산성(성리산성) : 신라 모혜현의 치소인가? 더보기 상주 봉황성 : 의성 소문국으로 들어가는 관문 낙동강과 위강의 이수가 합류하고 속리산, 일월산, 팔공산 등 삼산의 지맥이 한곳에 모인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일대를 일컬어서 삼산이수 혹은 이수삼산이라고 한다. 이곳에 있는 봉황성을 중심으로 낙동강과 위강이 좌우로 흘러내려 동서남 삼면이 강이고, 북쪽은 영양의 일월산이 내려와 비봉산이 되었고 서쪽의 강건너 나각산은 속리산이 동남으로 이백리를 뻗어 강에 다달아 멈춰서면서 솟아 올랐고 동쪽의 토봉 일명 쉰등은 팔공산이 군위에서 위강과 같이 북으로 역류를 해서 끝을 맺은 지역으로 한마디로 강은 대강이고 산은 모두 명산이다. 봉황성은 봉황대 북편에서 동으로 위강 절벽까지 건너막은 토성으로 성은 언제, 누가, 무엇 때문에 쌓은지는 알수가 없으나 봉황성 절벽에는 임진왜란때 피난을 했다는 전설이 담긴 양처사굴이, 북.. 더보기 예천 어림산성 더보기 대구 달성 석문산성 더보기 고령 강정리산성 더보기 고령 본관리산성 더보기 고령 옥산리산성 더보기 고령 금산성(망산산성)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