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1일>
부모산성 답사를 마치고 늦은 시간 정북동토성에 도착했다. 정북동토성은 규모는 작지만 견고한 보루성이다. 미호천과 청주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무심천 합강 지점 요지에 위치한 강력한 보루성이다. 고대에는 미호천과 무심천이 합강하는 지점에 거대한 습지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여 이 토성은 아마도 거대한 호수 위의 섬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고고학적으로 1세기 경 즉 마한 시절부터 목책성이 있어다고 하며, 현재의 토성은 3세기 무렵 축조되었다고 한다. 축조시기, 판축이라는 축조방법, 강변이라는 입지조건 등이 서울 풍납동토성과 매우 유사하다. 이는 아마도 서울 풍납동토성을 축조한 세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안성천변에 입지한 평택시 팽성읍 농성과는 규모나 형태면에서 흡사하다. 이러한 강변 남안에 구축한 토성들은 동일한 세력 내지 집단이 있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필자는 감히 풍납토성을 비롯하여 정북동토성 및 농성 등은 韓의 유적(기념물)으로 인지한다. 여기서 韓이라 함은 가라를 말한다.
백제의 축성술은 부여 계통으로 고구려와 유사하다. 부여의 남하로 백제가 등장하고 백제가 가라의 영토를 잠식하면서 이러한 토성들도 백제의 것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
중부고속도로 서청주 나들목~하이닉스반도체 방향의 순환도로~무심천 건너 청하사거리에서 좌회전 하면 정북동 가는 길이 나온다.
정북동토성 안내판
정북동 머귀대마을
정북동토성이 보인다.
동벽과 동문
남벽과 남문
동문으로 출발
동문 바깥의 안내판
동문
동벽 부근의 해자터(북방). 통일신라시대에 해자를 메우고 건물을 세웠다고 한다.
동벽 부근의 해자터(남방)
동문에서 남문 부근을 바라보다
동문에서 동벽과 북벽을 바라보다
동문으로 들어와서 동문을 통해 동쪽을 조망하다
북벽과 서벽
북문과 북벽
동벽 부근의 집터자리
남벽 뒤로 우암산(338m)이 보인다. 우암산에도 산성이 있다.
북문과 북벽
서벽. 그 뒤로 방금 전에 올랐던 부모산성이 보인다.
북문
북벽 밖에서 한컷
북벽 뒤로 미호천 제방이 보인다.
북문터에서 바라본 미호천 제방
동문과 동벽. 그 뒤로 상당산성과 한남금북정맥이 동쪽을 향해 달리고 있다.
북벽과 동벽
동벽과 남벽. 그 뒤로 상당산성이 토성을 바라보고 있다. 이로 추정컨대 토성 바로 뒤로 우암산성이, 토성 동쪽 뒤로 상당산성이, 토성 서쪽 뒤로 부모산성이 이곳 보루성을 좌시하고 있다.
북벽과 서벽의 모서리
서벽의 치성
서문과 서벽
서문
서문과 그 바깥의 미호천 제방
서문 밖 미호천 제방
미호천 제방과 멀리 부모산성이 보인다.
서문 부근에서 동벽과 남벽의 모서리를 향해 바라보다
서벽과 남벽
서벽과 북벽
지난번 방문 때도 모형비행기 동호회가 있었는데... 아마 매주 이곳 토성에서 모임이 있는 것 같다.
동문과 동벽을 바라보다
모형비행기가 아닌 청주공항에서 이륙한 진짜 비행기입니다.
남문
남문에서 동문 부근을 바라보다
남문 뒤로 한남금북정맥이 보인다
남문에서 북문과 북벽을 바라보다
북문과 북벽 뒤로 보이는 산이 목령산성이 있는 목령산으로 추정된다. 오창산업단지 뒷산이다.
남벽
남문
남문에서 바라본 부모산성
우측이 우암산성, 좌측이 상당산성
북벽
남벽과 서벽. 그 뒤로 만뢰지맥이 미호천을 향해 내달리고 있다.
토성을 나오면서 남문을 바라보다
남벽과 동벽의 모서리
토성 전경
동벽과 해자터
정북동 머귀대 마을에서 바라본 정북동토성. 건데 잘 안보인다.
'산성기행 > 백제 산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 물한산성과 꾀꼴산성(2) : 남부여 북부전선의 2차 방어성 (0) | 2010.09.28 |
---|---|
아산 물한산성과 꾀꼴산성(1) : 남부여 북부전선의 2차 방어성 (0) | 2010.09.27 |
미호천 남안의 방어성(2) : 청주 부모산성 (0) | 2010.08.02 |
미호천 남안의 방어성(1) : 청원 강내면 저산성과 태성리산성 (0) | 2010.08.02 |
순창 대모산성 : 백제 도실군의 치소 (0) | 201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