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2월 21일>
대전은 산성의 도시이다. 연유는 고대 삼국간의 대회전(450년 실직원 사건~668년 고구려 멸망)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470년 신라가 지금의 보은읍 근방에 삼년산성을 축조한 이래 남부여와 신라간에는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선이 상착을 이루었다. 정확히 말하면 대전의 동쪽인 대청호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형국이었다. 상착은 상호 교착을 이루었다는 의미인데, 대청호 남쪽(금강 상류) 옥천 근방의 금강 연안서는 신라가 금강을 넘어 관산성을 비롯한 옥천읍 서쪽 산줄기에 요새같은 쌓은 산성들을 구축하고 금강의 지류인 서화천을 넘어 대전 동쪽 산줄기인 식장지맥을 돌파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옥천의 남쪽인 금산 일대에서는 다시 금강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였다. 이처럼 나제간에는 금강을 두고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였다.
남부여는 금남지맥에서 1차 분기한 식장지맥 상에 대 신라 1차 방어선을 구축하였는데, 마산동산성도 이러한 남부여 1차 방어선의 일환이다. 대청호 서안인 식장지맥에 구축한 남부여 1차 방어선은 554년 관산성 전투 당시 김무력(김유신의 할아버지)이 이끄는 신주의 신라군에 의해 돌파당할 위기에 처한다. 당시 김무력 군대를 대응한 이가 바로 태자 창(성왕의 맏아들)이었다. 이에 성왕은 태자와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50여 명의 기병과 함께 지름길로 가다가 신라군의 기습으로 삼년산군 출신 도도에게 현장에서 참수당하고 만다. 갑작스런 성왕의 죽음으로 태자 창도 환산성에서 버티지 못하고 겨우 살아서 사비성으로 돌아갔는데, 당시 학살 당한 남부여 군의 숫자가 3만에 가까웠다고 한다.
안내판. 마산동산성은 북으로는 직동의 노고산성과 서남쪽으로는 견두산성, 계족산성과 연결되어 신라군의 금강 도하를 저지하였을 것이다.
안내도. 대청 호반길을 따라 가다가 마산동 말미마을 부근에서 직동가는 지선으로 빠져 사슴골마을 가는 입구에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
편안한 산길을 걷다보면 마산동산성이 눈에 들어온다. 장대지1.
석축의 흔적1
석축의 흔적2
석축의 흔적3
민묘 뒤의 장대지
산성 내부. 마산동산성은 둘레가 200m 정도인 보루성이다. 보은군 회인면의 매곡성이나 호점산성의 신라군이 회인천을 따라 내려와 금강 도하를 시도하면 마산동 산성의 남부여군이 즉각 봉화나 봉수 등으로 후위에 보고하고 일전의 태세를 갖추었을 것이다.
석축의 흔적4
장대지2
동북방의 대청호. 사진에서 보이는 건너편 두 산줄기 사이로 금강 본류가 흐르는데 본류를 따라 내려온 신라군 감시가 마산동 산성의 주 역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동으로 약해산(221m)이 보인다. 약해산 뒤로 금강 본류가 흐른다. 약해산 줄기도 금강 남안으로 남부여에 소속되었을 것이다.
산성의 동쪽. 맨 뒤쪽 산줄기는 한남금북정맥의 1차 분기 지맥인 금적지맥상 보은의 국사봉, 노성산 일대로 사료된다.
마산동산성은 북쪽의 노고산성과 함께 금강 본류를 통해 도하하려는 신라군을 체계적으로 감시하였다.
'산성기행 (충청도) > 대전, 옥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월평동산성(1) : 고구려군이 금강을 돌파하다(2) (0) | 2010.04.23 |
---|---|
옥천 지양리산성(1) : 신라군이 금강을 돌파하다 (0) | 2010.03.07 |
대전 우술성 : 남부여 동부전선의 참모본부 (0) | 2009.05.11 |
대전 적오산성 : 백제 소비포현의 치소 (0) | 2009.03.29 |
옥천 환산성(고리산성) : 남부여 동부전선 전방사령부를 가다 (0) | 2009.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