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성기행(경상도)/김천,구미,칠곡

김천/무주 어전령성

<2019년 2월 24일>

 

 

 

 

표지사진 - 어전령. 무풍면 부평마을로 내려가는 길이다. 제법 넓어 보인다. 하지만 부항면 어전마을로 내려가는 길은 막혀있다. 아무래도 어전령은 무풍에서 접근하기 편하다.

 

백두대간 상 육십령과 추풍령(혹은 궤방령) 사이 중 제일 낮은 길이 소사고개이다. 이는 거창에서 무주 가는 길이고 김천에서 무주 가는 길 중 제일 낮은 구간은 덕산재에서 부항령이다.그 중간에 어전령이 있다. 

 

어전령은 김천시 부항면 어전과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부평을 잇는 고개다. 부항은 들어오면 서쪽이 험준한 산으로 막혀 있어 되돌아 나가야 했다. 하지만 백두대간도 넘을라 치면 넘을 수야 있다. 어전 사람들은 무풍장날 이 고개를 넘었다고 한다. 어전령은 선황당재로로 불리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무풍과 부항의 인적 교류가 상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 물고기 닮은 밭이 있는 어전리

 

월곡리 마을 입구에서 삼도봉터널 방면으로 가다가 좌측 어전령 아래 위치한 어전리는 조선시대까지 지례현 서면으로 속했는데 1895년 상서면으로 됐다가 1914년 신설된 부항면으로 편입됐다.
어전리는 김천최대의 김해허씨(金海許氏) 부위공파(副尉公派) 집성촌이다. 시조로부터 18세손인 공조참의 허시발(許時發)의 아들 허인(許仁)과 허경(許景)이 경남 합천의 삼가(三嘉)에서 이거해 정착한 이래 대대로 집성을 이뤄왔다.
어전이라는 지명은 마을 앞 들판의 형상이 물고기와 같이 생겨 물고기어(魚)자에 밭전(田)자를 써서 어전(魚田)이라 했다고 하는데 산비탈에 둘러싸인 마을 앞 들판의 형세가 부항천으로 합류하는 하천을 따라 헤엄쳐 나가는 물고기의 형상을 어김없이 닮은 듯하다.
마을중앙에는 김해허씨 재실로 입향조(入鄕祖) 허인(許仁)을 제향하는 경모재(景慕齋)가 높이 솟아있다. 이 가문에서는 철원부사를 역임한 허연(許然)을 비롯해 중추원참의 허진구(許軫九) 등 많은 인물이 배출됐다.
부항령을 경계로 전라북도 무풍면 금평리와 이웃하고 있는 어전2리 가목마을은 조선시대까지 지례현 서면에 속한 부항리였는데 1895년 상서면이 되고 1914년 상서면, 하서면이 통합해 새로 면을 신설할 때 이 마을의 지명을 따서 부항면으로 했다. 이때 면의 지명과 마을지명이 같으면 혼란이 생긴다고 인근 어전리로 폐합했다가 1963년에 어전2리로 분동했다.
이 마을은 부항령과 백도래산의 비탈진 자락에 위치해 교통여건이나 마을로서의 입지 조건이 용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근년까지 100가구에 육박하는 큰 마을을 유지했다.
가목마을은 마을의 형상이 물이 끓고 있는 가마솥의 형국인지라 가마부(釜)자에 목항(項)자를 써서 부항(釜項)이라 하고 우리말로 가마목이라 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가목이라 불리게 됐다. <김천신문, 우리고장 어제와 오늘, 부항면 편, 권숙월 기자>

 

어전리 자연부락의 이름과 유래

 

어전(漁田), 어전리, 어전골

임진왜란때 허인이라는 선비가 이곳에 피난와서 보니 들판의 형상이 마치 물고기처럼 생겼다 하여 어전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또 다른 유래는 이 마을 이름이 없을 때 어떤 도인이 이 마을에 와서 보니 동네 서쪽의 작은 폭포수 아래에서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놀고 있어 어전이란 마을 이름을 지어 주었다 한다. 어전재·어전령은 어전리 서쪽에 있는 고개로 경상북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삼국시대에 신라군과 백제군이 싸웠던 재라 한다. <김천시사(1999년)>

 

어전령성의 위치는 불확실하다. 만약 산성이 있다면 어전령을 사이에 두고 남쪽의 810봉과 북쪽의 853봉 둘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두 곳 모두에서 산성의 뚜렷한 흔적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래도 냄새가 나는 곳이라면 아무래도 북쪽의 853봉이 유력하다. 그 근거로 북쪽 부항령성까지 준령으로 쭉 이어져 있어 두 성 모두 후방의 안위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추정지1이 맞다면 어전령성은 일종의 관문성으로 볼 여지가 있다.

 

 

 

참고로 덕산재는 무주에서 성주로 가는 30번 국도가 지나간다. 일제 때 발행된 고지도에는 '주치령'으로 표기되어 있다고 한다.

 

 

 

 

 

 

 

제목 오기로 보인다. 부항령성에 대한 설명이다.

 

 

제목 오기로 보인다. 어전령성에 대한 설명이다.

 

 

 

 

 

 

 

 

 

대덕산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