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18일>
필자는 대전 동부의 금남지맥상의 주요 3고개가 3도의 방향이었다고 추정한다. 3고개 중 하나는 계룡시 양정고개로서 지금도 1번(남북국도)과 4번 국도(동서국도)가 합류하여 지나가는 간선도로이다. 다른 하나는 황령재로서 논산 벌곡면 소재지인 한삼천리에서 황산벌로 알려진 연산면 연산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마지막 하나는 논산 벌곡면 덕목리에서 덕목재를 넘어 남부여의 산직리산성과 웅치산성이 지키고 있는 산직리 계곡을 지나 황산벌로 가는 길이다. 그런데 덕목재가 아닌 웅치를 넘어 산직리 계곡으로 들어갈 수도 있었다. 그런데 신라군이 덕목재를 넘든 웅치를 넘든 아니면 동시에 둘다 넘든 전술적으로는 동일한 루트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황령재 루트를 따라가 본다. 흑석동산성에서 벌곡천을 상류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벌곡면 소재지인 한삼천리가 나온다. 여기서 곧장 서쪽의 황령재길로 넘어가면 비교적 손쉽게 황산벌에 당도할 수 있다. 황령재에는 함박봉에 황령산성이 있어 금남정맥을 넘으려는 적을 감시할 수는 있으나, 김유신 군대를 막아서기에는 중과부적이었을 것이다. 황령재에서 황산벌로 내려오면 탄현 넘어 시작되는 긴 계곡이 바로 끝나는 지점이다. 따라서 황령재가 뚫린다면 계백의 남부여 기병들은 곧바로 탄현 계곡에 갇힌 꼴이 되므로 전술적으로 중요한 지점이 된다. 아마도 신라의 김유신 군대 일부가 황령재를 넘어려고 했던 것은 탄현으로 내려서는 주력군의 숨통을 틔워주기 위함이다. 결국 남부여군은 탄현 계곡에서 물러나 전선이 넓어진 황산벌에서 신라의 주력군과 삼한을 두고 대회전을 벌이지 않을 수 없었다. 아! 가련한 계백의 남부여 군이여! 그대들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구나!
황령재. 연산에서 벌곡(한삼천리)가는 방향. 신라군은 저 고개로 넘어들어 왔을 것이다.
황령재에는 황산벌을 조망할 수 있는 넓은 공터(주차장)이 있다. 탑정호와 그 상류인 황산벌. 고대에는 탑정호가 없었으므로 황산벌은 지금 보다 훨씬 넓었을 것이다.
남부여군은 3도로 나누어 들어온 신라군을 개전 초기 잘 막아내다가 결국 황령재에서 내려온 신라군에 의해 탄현 계곡이 열리자 황산벌 구릉으로 퇴각한다. 계백은 이곳에다 3영을 설치하고 신라군에게 필사적으로 저항하나 결국 최후를 맞이하고 만다. 사진에서 탑정호 오른쪽 산자락 구릉에 말무덤이 하나 있었는데, 계백장군의 묘라고 전해진다. 지금은 논산시에서 단장하여 계백장군 묘역을 공원화하였으며, 백제군사박물관도 건립하여 학생들에게 살아있는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삼한의 골 어디에나 역사는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 시야를 돌리면 황산성이 수풀사이로 조금 보인다. 황산성은 남부여 황등야산군의 치소로 황산벌 전쟁 당시에는 전쟁에 큰 역할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마도 남부여는 황둥야산군의 치소로 평지성을 쌓았다면 전쟁에 도움이 되었으리라 사료된다.
황산성의 산줄기
논산시 연산면 소재지 전경
1번과 4번 합류 국도가 서쪽 논산 방향으로 나 있는 것이 보인다. 국도 좌측이 매봉(146m)으로 청동리산성이 있다. 이곳은 답사할 기회가 없었는데, 황등야산군 치소보다는 보루성으로서 의미가 있는 듯하다. 아래 설명에서와 같이 청동리산성은 테뫼식 보루성으로 조그만 산성이다. 만약 청동리산성과 황산성 사이에 평지성을 축조하여 황등야산군의 치소로 하였다면 남부여군에게도 승산이 있었을 것이다. 게백의 5천 결사대로서는 넓디 넓은 황산벌을 방어하기에는 힘들었을 것이다.
청동리산성에 대한 설명
황산벌 전적지 안내판
산직리산성 아래에는 신라군과 싸워 승리했다고 하는 승적골이 있으며, 인근 부적면에는 백제 유민들이 계백장군의 시신을 가매장 했다는 가장골이란 지명이 있다. 가장골에 게백장군 묘와 함께 백제군사박물관이 세워져 있다.
황산벌 전적지 안내판에는 신라군의 추정 진격로에 양정고개는 배제시키고 있다. 황령재, 웅치, 물한재를 3도로 비정하고 있다.
함박봉(황령산성)가는 등산로
등산로 입구
송불암 미륵불 이정표
황령재를 내려서면 송불암 미륵불이 전설을 간직한 채 길손을 맞이한다.
송불암 대웅전
미륵불
안내판1
안내판2
미륵불을 지키는 미륵이(하늘도깨비가 그냥 붙인 이름). 생긴 것 하고는 다르게 더운지 혀만 내밀고 짖지 않는다. 정말 착한 놈이다. 그래서 찰칵~
송불암 입구에서는 계룡산에서 남하해 온 주산(308.0m)의 줄기가 탄현 계곡의 서벽을 이루고 있다. 탄현 계곡의 동벽은 금남정맥이 이루고 있다. 맨 오른쪽 봉우리가 함지봉(386.5m), 맨 왼쪽이 황산성일 듯.
송불암 입구에서 바라 본 매봉 산정. 테뫼식 산성으로 보루성인 청동리산성이 있다.
연산면 소재지에서 관동리 방향으로 황산성 가는 이정표가 있다.
<2013년 9월 30일>
황령재로 상에 있던 남부여의 황령산성을 올랐다. 황령산성은 수풀이 우거져 그 흔적과 규모를 알긴 어렵다. 다만 짐작만 할뿐이었다. 지금은 활공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함박봉 아래 황산벌이 한눈에 조망된다.
'역사추론 > 탄현은 어디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계현산성, 남부여의 탄현인가? (0) | 2010.07.22 |
---|---|
신라군의 황산벌 진격로인 3도를 따라서(3) : 웅치로(덕목재로) (0) | 2010.07.21 |
신라군의 황산벌 진격로인 3도를 따라서(1) : 탄현(양정고개)로 (0) | 2010.07.20 |
탄현에 대한 고찰 : 남부여 최후의 대회전에 대한 보고서 (0) | 2010.07.16 |
옥천 자모실고개 (0) | 201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