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5일>
<표제사진 - 웅진성 전경>
<백제 왕조의 부활 (2)>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백제의 한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처형시키자 백제 왕조는 멸족의 위기로 내몰렸다. 그러자 제2의 도성으로 천도한 곳이 웅진성이었다. 웅진성에서의 백제 왕조는 온갖 어려움을 겪었지만 끝내 백제 왕계를 지켜낼 수 있었다. 웅진(熊津)은 지금 공주의 옛 이름이다. 순수 우리말로는 '구마나리'다. '곰 웅(熊)'자와 '나루 진(津)'을 풀어서 '고마나루'라고도 한다. 한강 유역의 한성(위례성)에서 금강 유역의 웅진성으로 천도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필자는 한성 함락 이후 웅진성으로의 천도 과정에 대한 역사적 추론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근개루가 이 말을 듣고 아들 문주에게 말했다. "내가 어리석고 총명하지 못하여, 간사한 사람의 말을 믿다가 이렇게 되었다. 백성들은 쇠잔하고 군대는 약하니, 비록 위급한 일을 당하여도 누가 기꺼이 나를 위하여 힘써 싸우려 하겠는가? 나는 당연히 나라를 위하여 죽어야 하지만 네가 여기에서 함께 죽는 것은 유익할 것이 없으니, 난리를 피하여 있다가 나라의 왕통을 잇도록 하라." 문주가 곧 목협만치(木劦滿致)와 조미걸취(祖彌桀取)를 데리고 남쪽으로 떠났다.[목협, 조미는 모두 복성인데, <수서(隋書)>에서는 목협을 두 개의 성으로 보았으니 어느 것이 옳은지 알 수 없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개로왕 21년(475년) 9월 조>
개로가 성을 막고 굳게 수비하면서 문주를 신라에 보내 구원을 요청토록 하였다. 그는 구원병 1만 명을 얻어 돌아왔다. 고구려 군사는 비록 물러갔으나 성이 파괴되고 왕이 사망하여서 문주가 마침내 왕위에 올랐다. - 중략 - 원년 겨울 10월에 웅진(熊津)으로 도읍을 옮겼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 원년(475년) 조>
한성이 함락되기 전, 태자 문주는 신라로 구원병을 청하러 갔다. 이때 목협만치와 조미걸취라는 두 인물도 태자와 동행한다. 두 사람은 신라에게 구원병을 청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을까? 특히 필자가 주목하는 인물은 목협만치이다. 목협만치라는 사람은 <일본서기>에도 등장한다.
응신왕 25년(420년) 백제의 직지왕(直支王, 전지왕)이 죽었다. 곧 아들 구이신(久爾辛)이 왕위에 올랐다. 왕은 나이가 어렸으므로 목만치(木滿致)가 국정을 잡았는데, 왕의 어머니와 서로 정을 통하여 무례한 행동이 많았다. 천황은 이 말을 듣고 그를 불렀다. [<백제기(百濟記)>에는, “목만치는 목라근자(木羅斤資)가 신라를 칠 때에 그 나라의 여자를 아내로 맞아 낳은 사람이다. 아버지의 공으로 임나(任那)에서 전횡하다가 우리나라(백제)로 들어왔다. 귀국(왜)에 갔다가 돌아와 천조(왜 조정)의 명을 받들어 우리나라의 국정을 잡았는데, 권세의 높기가 세상을 덮을 정도였다. 그러나 천조에서는 그의 횡포함을 듣고 그를 불렀다.”라고 되어 있다.] <일본서기 응신왕 25년 조>
<일본서기>는 목협만치(木劦滿致)가 아닌 목만치(木滿致)로 나온다. 과연 두 이름은 동일 인물일까?
목만치는 목라근자(木羅斤資)의 아들로 나온다. 따라서 목만치는 목라만치의 줄인 말이 된다. <일본서기>에는 목라불마갑배(木刕不麻甲背), 목라금돈(木刕今敦) 등 ‘목라(木刕)’를 성으로 하는 인물들이 많이 나온다. ‘라(羅)’와 ‘라(刕)’는 음운이 상통한다. ‘라(刕)’와 ‘협(劦)’은 자형(字形)이 유사하다. 따라서 목라(木羅)와 목라(木刕)는 같은 성씨이고, 목협(木劦)은 목라(木刕)를 오인한 표기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목라만치(목만치)와 목협만치는 동일한 이름으로 생각된다.
그럼 동명이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목라만치는 아버지 목라근자의 후광으로 임나를 좌지우지하였다. 임나는 <일본서기>에서는 통칭 가야의 대명사로 사용하지만, 실제는 백제와 왜를 잇는 항로상 낙동강 하구와 가까운 남해안 포구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사료된다. 필자는 이곳을 조선 삼포로 왜관이 있었던 제포 즉 지금의 경남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일대로 비정한다. 목라만치는 임나를 기반으로 백제와 왜 조정 두 곳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 같다. 물론 신라나 가야에도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다.
<일본서기>는 목라만치가 420년경 백제 조정을 농단했던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백제 전지왕의 왕비는 팔수부인인데, 전지왕이 죽고 어린 아들 구이신이 왕위에 오르자, 팔수 태후의 남자가 되어 정권을 장악한 비도덕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그런 그가 한성 백제의 마지막 임금인 개로왕 대까지 살아 있었던 것이다. 더욱이 태자 문주와 함께 신라로 군사를 청하러 가는 것이다. 이 즈음이 475년경이면 그는 매우 장수한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가 만약 구이신왕이 즉위할 때 30세로 가정하면 한성이 함락되던 시절은 85세가 된다. 그는 5C를 관통하며 백제-임나-왜를 누비며 살았던 국제적인 인물로 사료된다.
그렇다면 목라만치는 신라군을 요청할 정도의 영향력이 있었을까?
<백제기(百濟記)>에는, “목만치는 목라근자(木羅斤資)가 신라를 칠 때에 그 나라의 여자를 아내로 맞아 낳은 사람이다. 아버지의 공으로 임나(任那)에서 전횡하다가 우리나라(백제)로 들어왔다. 귀국(왜)에 갔다가 돌아와 천조(왜 조정)의 명을 받들어 우리나라의 국정을 잡았는데, 권세의 높기가 세상을 덮을 정도였다. 그러나 천조에서는 그의 횡포함을 듣고 그를 불렀다.”라고 되어 있다. <일본서기 응신왕 25년 조 주석>
<일본서기>에는 목라만치의 아버지 목라근자가 근초고왕의 명으로 남정을 시도한 인물로 나온다.
신공왕후 49년(369년경) 봄 3월 황전별(荒田別)과 녹아별(鹿我別)을 장군으로 삼아 구저(久氐) 등과 함께 군대를 거느리고 건너가 탁순국(卓淳國)에 이르러 신라를 치려고 하였다. 이 때 어떤 사람이 “군대가 적어서 신라를 깨뜨릴 수 없으니, 다시 사백(沙白)·개로(蓋盧)를 보내어 군사를 늘려 주도록 요청하십시오.”라 하였다. 곧 목라근자(木羅斤資)와 사사노액(沙沙奴跪)[이 두 사람은 그 성을 모르는데 다만 목라근자는 백제 장군이다.]에게 정병을 이끌고 사백·개로와 함께 가도록 명하였다. 함께 탁순국에 모여 신라를 격파하고, 비자벌(比自㶱)·남가라(南加羅)·녹국(㖨國)·안라(安羅)·다라(多羅)·탁순(卓淳)·가라(加羅)의 7국을 평정하였다. 또 군대를 옮겨 서쪽으로 돌아 고해진(古奚津)에 이르러 남쪽의 오랑캐 침미다례(忱彌多禮)를 무찔러 백제에게 주었다. 이에 백제왕 초고(肖古)와 왕자 귀수(貴須)가 군대를 이끌고 와서 만났다. 이 때 비리(比利)·벽중(辟中)·포미지(布彌支)·반고(半古)의 4읍이 스스로 항복하였다. 그래서 백제왕 부자와 황전별·목라근자 등이 의주류(意流村)[지금은 주류수기(州流須祇)라 한다.]에서 함께 서로 만나 기뻐하고 후하게 대접하여 보냈다. <일본서기 신공황후 49년 3월 조>
이 기사가 '임나일본부설'로 유명한 <일본서기 신공황후 49년 3월 조> 텍스트이다. 필자는 이 기사를 백제 근초고왕의 남정 텍스트로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서기>는 임나 원정을 신공황후의 업적인 양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서기> 주석에서도 밝혔듯이 목라근자는 백제장군이라고 주석을 달아 백제군이 신라와 가야 원정에 참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침미다례를 백제에게 그냥 준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당시나 지금이나 상식에 부합되지 않는 기술이다. 피 흘리며 힘들게 정복한 땅을 그저 준다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인가? 목라근자 장군이 남정을 완수한 후 의주류라는 곳에서 근초고왕과 근구수 태자를 만나 기뻐하는 내용이 이 기사의 하일라이트이다.
이처럼 목라근자는 신라와 가야를 비롯한 삼한의 대부분을 복속시킨다. 물론 신라를 정복하진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신라는 백제의 남정에 놀라 목라근자 장군을 회유하기 위해 왕녀를 시집보내 사위로 삼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이가 바로 목라만치로 추론된다. 그렇다면 목라만치는 신라 왕가의 외손자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아버지를 이어 임나를 차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라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의 남정에 대한 나제간의 군사동맹을 고려한다면 목라만치는 비교적 수월하게 신라 조정으로부터 신라군을 요청할 수 있었고 실제 1만명이 한성에 도착하였다.
하지만 신라 구원군은 실제 백제 왕조를 구하는데 도움은 되지 않았다. 백제 왕조는 한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는데 모든 것이 잿더미로 변해 한성 재건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리고 신라군을 믿고 한성을 유지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이때 노신 목라만치는 백제 재건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필자는 목라만치가 신라 조정에 가서 구원군을 요청하고 태자 문주와 함께 한성으로 돌아오지 않고 자신은 임나를 거쳐 왜로 갔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문주왕 3년(478년) 여름 4월에 왕의 아우 곤지를 임명하여 내신좌평을 삼고 맏아들 삼근을 책봉하여 태자로 삼았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곤지가 누구인가? <공주 송산리고분군 : 웅진시대 백제 왕조를 부활시킨 왕들의 무덤> 편에서 밝혔듯이 곤지는 문주왕이 아닌 개로왕의 동생으로 백제를 재건한 동성왕과 무령왕의 아버지이다. 어쩌면 목라만치는 개로왕에 의해 왜로 추방된 곤지에게 백제 왕조의 재건을 위해 다시 삼한 땅으로 불러들인 인물이 아닐까? 그리고 왜에서 굳건한 토대를 구축한 곤지는 본국의 위급함을 알고 군사를 이끌고 구마나리(웅진)으로 들어와 문주왕의 뒷배가 되었을 것이다. 이로써 백제는 금강 유역에서 재기할 수 있었을 것이다.
'공산성의 혈투'. 어릴 적 TV에서 재미있게 본 적이 있다. 지금와서 보니 '공산성의 혈투'라는 제목보다는 '웅진성의 혈투'라고 하는 것이 맞다. 공산성은 고려시대 불린 이름이니까?
금서루
비석군
금서루
가죽나무
백제건물지
쌍수정으로
쌍수정 사적비
쌍수정 일대 평탄지는 웅진시대 왕궁지로 추정된다.
한성(위례성)에 비해 초라하기 그지 없는 규모이다.
쌍수정이 보인다.
연못
인절미의 유래
쌍수정
쌍수정 아래 추정 왕궁지
진남루 가는 길
송산리 고분군 방향.
공주 시가지. 공주는 강남이 구도시이고, 강북이 신도시이다.
진남루
영동루 가는 길
진남루로 내려다 본 길
영동루 가는 이 부근에서 좌측으로 임류각지가 나온다.
임류각지. 임류각은 5장(丈)의 고층 누각이었다고 한다. 1장이 3m이니 임류각은 15m 높이가 된다. 곤지의 아들로서 최초로 백제 왕위에 오른 동성왕은 정적이 많았다. 그래서 왕권을 높이기 위해 임류각을 지었다고 한다. 도고일척(道高一尺), 마고일장(魔高一丈)이란 말이 있다. 도(道)를 일척(30cm) 쌓으면, 마(魔)는 그 열배인 일장(3m) 높이로 넘어온다는 말로 도를 이루기 어려움을 표현하는 말이다. 동성왕은 정적들에게 도고일척, 마고일장 운운하며 자신은 5장(15m)을 쌓았으니 절대 마(정적들)가 넘어올 수 없다며 정적들에게 경고한 것이다. 동성왕이 패륜 군주라서 사치를 누리기 위해 임류각을 지은 것은 아니리라.
<임류각에 대한 삼국사기 백제본기 기사>
동성왕 22년(500년) 봄, 대궐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세웠는데 높이가 5장(丈)이었다. 또한 연못을 파고 기이한 짐승을 길렀다. 간관들이 이에 항의하여 글을 올렸으나 듣지 않고 다시 간하는 자가 있을까 염려하여 대궐 문을 닫아 버렸다.
5월에 가물었다. 왕이 측근들과 함께 임류각에서 잔치를 베풀며 밤새도록 실컷 즐겼다.
논하여 말한다. 좋은 약은 입에는 쓰지만 병에는 이롭고, 바른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행동에는 유익하다. 그러므로 옛날의 명철한 임금은 겸허한 자세로 정사를 남에게 물었으며, 얼굴빛을 부드럽게 하여 간하는 말을 수용하면서도, 오히려 사람들이 간하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간하고자 할 때 칠 수 있는 북을 달았으며, 비방하는 말을 기록하게 하는 기둥을 세우는 등 온갖 조치를 그치지 않았다. 지금 모대왕(牟大王)은 간하는 글이 올라 와도 반성하지 않고, 더욱 문을 닫고 거절하였다. <장자(莊子)>는 "잘못을 보고도 고치지 않으며, 간하는 말을 듣고도 더욱 심해지는 것을 사납다고 한다."라고 말하였으니, 이는 모대왕과 같은 사람을 두고 이른 말일 것이다.
<필자의 사족> 비록 <삼국사기> 편찬자들은 유교사관에 입각하여 동성왕이 언론을 막고 백성들을 보살피지 않는 패륜 군주로 묘사하고 있지만, 동성왕은 곤지왕계로서 개로왕계 뿐만아니라 8대 대성 귀족들의 도전을 받았을 것이다. 한 왕조를 재건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임류각지
임류각지
영동루 부근
영동루
영동루
영동루에서 성안으로 들어오면 복원된 임류각이 나온다. 복원된 임류각은 2층이지만, 임류각이 5장이었다면 실제는 5층 누각이었을 것이다. 동성왕의 정적들이 봤을 때 기가 죽었을 것이다.
임류각 옆의 장대지
명국삼장비. 웅진성 내에는 이곳저곳 볼 곳이 많다.
명국삼장비 옆 임류각
광복루
광복루의 사연
웅진성 내 제일 정상은 일출산으로 불린다.
금강
만하루 가는 길
공주시 강북 지역.
만하루 내려가는 길
만하루
만하루와 연지
공북루 가는 길
연지로 가는 수로
영은사
영은사
공북루
<끝>
'고대도성기행 > 삼국 도성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미륵산성 : 남부여 완성을 위한 전략 거점 (0) | 2021.06.18 |
---|---|
부여 낙화암과 고란사 : 세 비구니가 야마토(나라)에서 고란사로 건너온 사연은? (0) | 2017.08.09 |
공주 송산리고분군 : 웅진시대 백제 왕조를 부활시킨 왕들의 무덤 (0) | 2014.06.15 |
소부리 : 고대 삼한의 관문이 되다(2) (0) | 2012.05.21 |
소부리 : 고대 삼한의 관문이 되다(1) (0) | 201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