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추론/대회전

보은 삼년산성(2) : 신라가 백두대간을 넘어 삼한통일의 교두보를 마련하다

<2011년 1월 16일>

~ 보은 삼년산성(1)에서 계속 ~

 

표지사진 - 삼년산성 남동벽 구간

 

 

산성 동남방. 보은군 마로면 방향으로 백두대간 화령을 통해 사벌주(상주)로 가는 길이다.

 

동벽 구간

 

 

 

세월의 무게에 철옹성 삼년산성도 구간 곳곳이 허물어지고 있다.

 

 

 

산성의 동남방

 

동문 부근

 

동문지

 

 

 

동문의 구조는 Z형 이중 꺾임 구조로 되어 있다. 삼년산성 설계자의 천재성을 느끼게 한다. 삼년산성은 축조된 이래 한번도 함락된 적이 없다고 한다.

 

내부에서 바라본 동문지

 

적군이 운좋게 동문으로 접근하더라도 이중으로 꺾어 들어와야 하기 때문에 성문 진입하기가 만만치는 않을 것이다.

 

동문 부근에서 바라 본 서벽 구간

 

동문지 Z형 이중 꺾임 구조

 

동문과 동벽

 

남동치성 가는 길. 눈이 내리며 해도 사라져 추위가 매서워진다.

 

되돌아본 동벽과 동문 구간

 

남동치성이 보인다.

 

남동벽

 

북쪽으로 서북치성이 보인다.

 

남동치성

 

되돌아본 남동벽

 

 

 

북동치성이 보인다.

 

남동벽. 한컷 더!

 

남동치성

 

남동벽 구간 동쪽으로 한남금북정맥이 북류하고 있다.

 

 

 

남동치성에는 신라 장군은 간데없고 무덤 주인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남동치성 부근에서 바라 본 서문지와 서벽 구간

 

남벽 구간. 한분이 걸어오고 계신다. 인사를 주고받고는 하늘도깨비 얼굴이 추위에 발갛게 달아오른 것을 보고는 묻는다. '이렇게 추운데 오셨어요!' 추위에 정신나간 하늘도깨비 왈, '그러게요!' 솔직히 답사 포기하고 냅다 줄행랑치고 싶었지만 오로지 존심과 집념 때문에 인내하였다. 남동치성 부근에서 북풍 한기에 얼떨떨해지자 그만 이유 상실의 답변을 자연스레 한 것이다. 웃으며 눈 인사 한번 더하고 헤어진다. '그러게요!' 답변 한번 기막히고 코막힌다. 하늘도깨비 걷는 내내 웃음이 절로 나온다.

 

되돌아본 남동치성 오르는 길

 

남벽구간

 

 

 

서문과 서북치성

 

 

 

북쪽으로는 좌로 서북치성이, 우로는 북동치성이 보인다.

 

되돌아본 남벽. 삼년산성 모든 구간의 성벽은 돌로 촘촘히 쌓은 것이 예술이다.

 

남벽

 

서쪽으로 보은 읍내가 보인다.

 

서벽

 

서북치성

 

남문

 

남문은 성벽 5m에 위에 창문처럼 달린 현문 구조이다. 사다리가 아니고는 오르기 힘들다. 삼년산성은 성문 축조 기술의 전시장이라 부를 만하다. 이처럼 성문 4개 모두 각기 다른 독특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남문에서 산성 내부를 바라보다.

 

 

 

서벽과 아미지

 

삼년산성은 고로봉형 산성이다. 정약용 선생은 <민보의(民堡議)>에서 산성의 유형을 4개로 구분하였다. 고로봉형, 사모형, 마안형, 산봉형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 고로봉형은 사방이 높고 중앙이 낮아서 마치 물건을 담는 광주리와 같은 형태를 가진 것으로 외부에서 적이 내부를 볼 수 없어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간주된다. 산의 능선을 타고 축조되었기 때문에 성 밖의 자연적인 경사면을 이용해 훨씬 높은 성벽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처럼 삼년산성은 한국의 산성 중에서는 가장 우수한 산성으로 평가될 수 있다. 고로봉형 산성인 점, 4개의 성문이 독특한 구조를 갖추어 방어에 극대화를 기한 점, 성벽을 수평으로 균형을 잡아 성돌을 가로 세로 엇물려 우물 정(井)자로 내외협축으로 쌓은 높은 성벽을 지닌 점 등에서 삼년산성은 한국 산성의 교과서라 부를 수 있겠다.

 

산성 내부. 고로봉형 산성의 광주리 속으로 산성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는 없다.

 

서문, 아미지와 서북치성 가는 길.

 

서남벽을 바라보니 해가 구름속에 들어가 빛을 발하고 있다.

 

 

 

 

 

산성 내부의 수로

 

수로의 물은 아미지로 흘러 들어간다.

 

 

 

서벽

 

서문터에서 바라 본 서벽

 

하산길에 삼년산성을 바라보다.

 

<끝>

 

 

<2017년 3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