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여 낙화암과 고란사 : 세 비구니가 야마토(나라)에서 고란사로 건너온 사연은? <2017년 4월 23일> <표지사진 - 낙화암> 더보기 세종 독안산성 : 금강 연안에 고구려산성이 존재하는 까닭은?(2) <2017년 2월 5일> <표지사진 - 독안산성 성돌 사이로 나무가 자라고...> 독안산성 주변 산성 위치도 독안산성 답사루트 복두산성 가는 길 고개에서 맞은편 능선을 오른다. 독안산성 가는 길에 남쪽으로 노고봉 산성이 조망된다. 나무 가지 사이로 대국터 마을이 보이고. 묘지 부근에.. 더보기 세종 복두산성 : 금강 연안에 고구려산성이 존재하는 까닭은?(1) <2017년 2월 5일> <표지사진 - 복두산성 전경> 복두산성 주변 위치도 복두산성 답사루트 실크리버 컨트리 입구 지나면 고개가 나온다. 이곳에서 주차하고 좌측 임도로 향한다. 갈림길에서 우측 임도로 향한다. 그냥 좌측 임도로 가면 편한 길인데... 결국 우회해서 복두산성에 도달. .. 더보기 진천 농다리 : 지네다리는 누가 쌓았을까? <2017년 2월 2일> <표지사진 - 진천 농다리> 진천 농다리[籠橋]는 진천읍을 관통하는 백사천과 이월면을 적시는 덕산 한천천이 합류해 흐르는 백곡천에 놓인 돌다리이다. 농다리·수월교라고도 하며, 지네를 닮았다고 하여 지네다리라고도 불린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유형문화.. 더보기 금산 계원봉보루 : 신라 용문산성을 감시하기 위한 백제 보루성 <2014년 3월 22일> <표제사진 - 군북면 외부리에서 바라본 계원봉 보루 전경> 금산군 군북면과 금성면의 경계에 있는 계원봉(352m) 보루는 금산벌을 지키는 남부여 동부전선의 보루성이다. 북으로는 금성산성, 핏재산성과 더불어 동쪽의 신라 용문산성과 대척점에서 서로 경계하였다.. 더보기 논산 반야산성 : 논산평야를 아우르던 삼한시대의 고대 토성 <2017년 1월 7일> <표제 사진 - 반야산 정상 가는 길에 바라본 반야산성 전경> 답사 루트 반야산성은 토성이다. 토성은 삼한시대의 특성이다. 특성이라곤 하지만 석성을 쌓을 필요가 없는 시대의 산물이다. 반야산성은 논산천이 오랜 기간 축적한 비옥한 대지, 논산평야를 아우르던 .. 더보기 논산 청동리산성 : 황산벌 대회전을 묵묵히 지켜본 삼한의 고성 <2017년 1월 7일> <표제 사진 - 농원 임도 맞은편에서 바라본 청동리산성 전경> 답사하기 전, 황산벌 전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리산성에 대한 기대감은 컸다. 그런데 놀랍게도 청동리산성은 토성이었다. 이는 청동리산성이 삼국 이전의 삼한시대 유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 더보기 논산 웅치산성(곰티산성) : 660년 신라와 백제간의 최후 결전지 <2016년 12월 31일> <표제사진 - 웅치산성 오르기 전 너럭바위에서 서남방으로 바라본 논산시 양촌면 산직리계곡> 2016년 마지막 날이라 그런지 산성 답사를 떠나고 싶었다. 멀리는 못가고 평상시 답사하고픈 마음이 꿀떡 같았던 논산 웅치산성을 올랐다. 약 2시간의 답사는 대만족이.. 더보기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