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성기행(경상도)/상주,군위

상주 중모고성 : 신라 도량현의 치소

<2014년 1월 19일>

 

 

<표지사진 - 중모중고등학교 뒷산인 중모산(혹은 안평산))에 소재한 중모고성의 전경>

 

 

상주 중모고성의 위치도, 확대하려면 클릭하세요.

 

 

신라가 삼한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백두대간 이서의 삼년산성(충북 보은)과 금돌성(경북 상주)의 축조라고 할 수 있다. 삼년산성은 고구려와 백제를, 금돌성은 백제를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었던 유력한 신라의 교두보였다.

5C 중반경 신라는 당시의 자연 국경선인 백두대간을 넘어 백제를 제압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특히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고도가 제일 낮은 중화지역에 주목하곤 5C 후반 이곳을 전격 장악한다. 그리곤 중화지역 북쪽에 삼년산성을, 남쪽에는 금돌성을 쌓아 중화지역이 고립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오히려 이후 공격의 거점이 된다. 삼년산성과 금돌성은 양수겸장의 요지인 셈이다.

그럼 중화지역이란 어떤 곳인가?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 고도가 제일 낮아 고대 동서 교통로의 핵심 지역이 바로 '중화지역'이다. '중화지역'은 고려시대 '중모현'의 '중'자와 '화령현'의 '화'자가 결합하여 생긴 말이다.

고대 중화지역은 신라의 답달비군과 그 영현인 도량현(통일신라 땐 도안현)이 있던 곳이다.

 

1) 고려 '화령현'은 신라의 '답달비군'이다. 답달비군의 영역은 오늘날 상주시 화서면, 화동면, 화북면, 화남면 일대로 추정된다. 면 이름 앞에 모두 '화'자가 들어가고 나머지는 방위를 지칭하는 동서남북을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답달비군의 치소로 추정되는 곳은 상주시 화서면과 화동면의 경계상에 있는 원통산의 서편 자락에 소재하고 있는 '화령고성'이다. '화령고성'은 '노고산성'으로 일컬어진다. '화령고성'은 고려 때 이름이고, 신라 때 이름은 '답달비성'이다.

 

2) 고려 '중모현'은 신라의 '도량현'이다. 도량현의 영역은 상주시 모서면과 모동면 일대이다. 면 이름 앞에 모두 '모'자가 들어가고 역시 방위를 지칭하는 동서를 사용하였다. 이곳의 치소는 상주시 모서면 도안리 역마루(조선 초기까지 상평역이 있었다)마을과 모동면 덕곡리 안평마을 경계에 있는 중모산의 산정을 테뫼식으로 축조한 '중모고성'이다. 중모고성의 둘레는 620m 정도라고 한다. '중모고성'은 '안평산성' 혹은 '기병산성(騎兵山城)'으로 불린다. '중모고성'은 고려 때 이름이고, 신라 때 이름은 '도량성' 혹은 '도안성'이다.

 

필자는 먼저 경북 상주시 모동면 중모중고등학교 뒷산에 소재한 중모고성을 둘러보았다.

 

 

* 참고자료

 

1) 중모고성 (상주시 모동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덕곡리 158-1번지인 모동면 덕곡리 안평과 모서면 도안과의 사이에 있는 토성(土城)이다. 해발 352.7m 안평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있는 테뫼식 성으로, 성벽의 높이 1~2.5m. 성 폭은 아래가 약 2m. 둘레 620m다. 성의 남서쪽에 있는 회곽도(廻郭道)는 폭이 5m 가량 된다. 성 안에서는 지금도 기와와 토기조각이 발견된다. 1830년에 제작된 상주지도의 「모동면도(牟東面圖)」에는 이 곳의 지명을 봉성(鳳城)으로 기록되고 있다.

 

2) 소산봉수대 (상주시 모동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역마루 서쪽 해발 350m에 있는데, 5m×5m 크기로 자연석을 이용하여 2단 정도 둥글게 쌓은 것이 남아 있다. 『상산지』는, 중모현의 북쪽에 있으며, 남으로 충청도 황간현 소산과 서로 화령산 국사당과 연락했다고 전한다. 남으로 충청북도 황간현 소산봉수와 서로 화령현 국사당 봉수와 연락했다. 『세종대왕실록』 권 제149 충청도 황간현 편은 황간 소이산 봉수가 북쪽으로 경상도 상주 중모현 소산에서 연락을 받는다고 전하고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제16 황간현 봉수 편도 황간 소이산 봉수가 북쪽으로 경상도 상주 중모현 소산과 연락을 한다고 전한다.

 

3) 금천리고분군 (상주시 모동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금천리 산29-2번지에 있다. 산금 마을의 북서쪽 해발 약 250m 내외의 구릉에 있다. 삼국시대의 석곽묘로 보인다. 1987년 마을 주민 황준하 씨가 농지정리 중 고배(高杯)와 장경호(長頸壺) 등 10여 점의 유물을 발견하여 경주국립박물관에 신고하였었다.

 

4) 도안리고분군 (상주시 모서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도안리 산40-42번지에 있다. 도안리 역마루 마을 뒷산 능선 북서사면 위에 분포한다. 구릉의 아래 부분에는 봉토 밑면 지름(底徑)이 5~6m. 높이가 1m 정도인 봉토분 10여 기가 능선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삼포리 고분군과 인접된 정상부에는 소형 돌널무덤으로 추정되는 석렬(石列)이 지표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주위에는 삼국시대 토기편이 흩어져 있다.

 

5) 삼포리고분군 (상주시 모서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삼포리 산16. 17번지에 있다. 모서면 소재지에서 모동방향으로 향하는 977번 지방도를 따라 약 300m 정도 가면 작은 하천이 나타난다. 이 하천을 건너는 다리에서 남쪽으로:1 보면 동서로 길게 뻗은 구릉이 있는데, 이 구릉지에 삼포리 고분군이 있다. 이 구릉은 해발 933m인 한성봉(漢城峰)에서 동북쪽으로 뻗어 내린 지릉(支陵)으로 서편에는 도안리 고분군이, 남쪽에는 중모성지(中牟城址)가 있다. 구릉 위에는 봉토가 대부분 유실된 고분들이 많이 있고 저경(底徑)이 5~8m. 높이가 1m 내외인 소형 봉토 10여 기도 있다. 또 이 일대에는 인두대(人頭大)의 할석(割石)들이 열을 지어 있는 것이 많이 있고, 토기조각들도 다수 채집된다. 이로 미루어 소형 석곽묘가 밀집분포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6) 상평역 (상주시 모서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인용)

안평 북쪽 역마루라고 불리는 마을이 옛 역말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상평역이 중모에 있다고 전한다. 고려 때 경산부도(京山府道)에 속한 역이다. 경산부도(京山府道)는 25역(驛)을 관장했는데 안언(安堰). 답계(踏溪)<경산(京山)>. 안림(安林)<고령(高令)>. 수향(水鄕). 연정(緣情)<팔거(八紺)>. 설화(舌火)<화원(花園)>. 무기(茂淇)<가리(加利)>. 금천(金泉)<금산(金山)>. 속계(屬溪)<황간(黃澗)>. 장곡(長谷)<지례(知禮)>. 순양(順陽)<양산(陽山)>. 토현(土峴)<이산(利山)>. 이인(利仁)<안읍(安邑)>. 증약(增若)<관성(管城)>. 작내(作乃)<지례(知禮)>. 낙양(洛陽). 낙산(洛山)<상주(尙州)>. 회동(會同)<영동(永同)>. 원암(猿岩). 사림(舍林)<보령(報令)>. 추풍(秋風)<어모(禦侮)>. 상평(常平)<중모(中牟)>. 안곡(安谷)<선주(善州)>. 장령(長寧)<화령(化令)>. 부상(扶桑)<개령(開令)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곳에 역이 운영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역마루 뒷산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중모중고 뒤편의 중모고성 전경

 

 

서쪽으로 금돌성이 소재한 백화산 줄기가 보인다.

 

 

안평마을 뒤 중모고성

 

 

 

안평마을 경로당 우측 두번째 길 사이로 올라갔다.

 

 

동쪽으로 백두대간 능선이 보인다.

 

 

된비알을 5분여 오르면 중모성 동벽에 이른다.

 

 

 

 

 

 

동벽 석축의 흔적들

 

 

동벽의 평탄지

 

 

 

 

 

 

둘레가 620m라 그런지 산성 내부 평탄지는 무척 넓어 보였다.

 

 

 

 

서북벽 부근

 

 

 

 

 

 

 

 

서북벽 부근의 석축

 

 

산성 북쪽의 평탄지

 

 

 

 

중모고성 바로 북쪽 산정에는 봉수대가 있다. 역마루마을 뒷산.

 

 

 

 

서벽을 따라 걷는다.

 

 

산성의 중심인 장대지.

 

 

나무 사이로 봉수대가 보인다.

 

 

 

 

 

 

 

 

 

 

 

 

 

 

 

 

 

 

산성의 서남벽 부근

 

 

 

 

서남벽 아래 급경사

 

 

 

 

 

 

 

 

서쪽으로 백화산 줄기가 보인다.

 

 

천오백년 전의 축조물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물론 고려시대까지 현의 치소로 사용했을 터이지만.

 

 

 

 

 

 

 

 

남벽 모서리 부근

 

 

남벽 아래

 

 

 

 

다시 동벽구간

 

 

 

 

처음 올라왔던 동벽 구간. 산성 성벽을 따라 한바퀴 돈 셈이다. 중모고성의 전체 느낌은 아담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바로 답사한 화령고성과는 쌍둥이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산성은 산성의 규모와 위치, 테뫼식이란 축조방식에서 보면 거의 흡사했다. 두 고성을 잘만 보존하고 연구한다면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이어온 군현의 치소성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동벽에서 바라본 모동면 들판

 

 

 

 

동벽구간

 

 

동벽과 북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석축의 흔적

 

 

 

 

서벽으로 이어지는 구간

 

 

봉수대

 

 

북벽 아래

 

 

북벽 아래 성묘길로 하산한다.

 

 

 

 

답사길은 안평마을과 역마루마을 사이 골짜기 성묘길로 가는 것이 좋겠다.

 

 

중모고성 전경

 

 

동북쪽의 모서면 도안리 대가산(445.6m)

 

 

 

우측이 바로 소산봉수대가 있는 산이다.

 

 

<2010년 3월 14일>

 

상주 화령고성과 중모고성 : 신라군이 백두대간 중화지역을 장악하다

 

신라에서는 상주가 정치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하였다. 낙동정맥을 힘겹게 넘어온 신라 입장에서 백두대간의 서쪽과 북쪽을 넘어 금강과 남한강 유역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상주라는 든든한 배후 기지가 있어야 했다. 상주에서 백두대간 서쪽을 넘어가려면 오늘날 상주시 화서면으로 비정되는 답달비군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백두대간의 북쪽을 넘어가려면 고동람군(현재의 상주시 함창읍 일대)의 속현인 관문현(현재 문경시 문경읍 일대)을 거쳐야 한다. 오늘은 상주에서 백두대간 화령재를 넘어 서쪽의 금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대백제(남부여)루트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 고도가 제일 낮아 고대 동서 교통로의 핵심 지역이 바로 '중화지역'이다. '중화지역'은 고려시대 이곳의 두 지명이 '중모현'과 '화령현'이었는데, 이를 합성하면서 '중모현'의 '중'자와 '화령현'의 '화'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말이다.

 

'화령현'은 신라의 '답달비군'이다. 답달비군의 영역은 오늘날 상주시 화서면, 화동면, 화북면, 화남면 일대로 추정된다. 면 이름 앞에 모두 '화'자가 들어가고 나머지는 방위를 지칭하는 동서남북을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답달비군의 치소로 추정되는 곳은 상주시 화서면과 화동면의 경계상에 있는 원통산의 서편 자락에 소재하고 있는 노고산성이다. 노고산성은 '화령고성'으로 일컬어진다.

 

'중모현'은 신라의 '도량현'이다. 도량현의 영역은 상주시 모서면과 모동면 일대이다. 면 이름 앞에 모두 '모'자가 들어가고 역시 방위를 지칭하는 동서를 사용하였다. 이곳의 치소는 상주시 모서면 도안리 역마루(조선 초기까지 상평역이 있었다)마을과 모동면 덕곡리 안평마을 경계에 있는 중모산의 산정을 테뫼식으로 축조한 중모성이다. 중모성은 '안평산성' 혹은 '기병산성'으로 불린다.

 

 

청원상주간고속도로 화서나들목을 나오자마자 정면에 화령장전투전적비가 있다. 1950년 7월 17일부터 25일까지 국군 독립 제17연대(연대장 김희준 중령)와 제1사단(사단장 백선엽 대령)은 북한군 제15사단(사단장 박성철 소장)을 이곳 화령 일대에서 맞이하여 백두대간을 두고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국군 입장에서는 낙동강 방어선 구축을 위하여 시간이 필요하였고, 북한군 입장에서는 백두대간 화령재를 넘어 빨리 상주로 진격하여 문경 전투의 북한군 제1사단(사단장 최광 소장)의 남하를 도움으로써 낙동강 방어선 구축 전에 낙동강 도하를 시도하려는 것이다. 국군은 약 8일간의 지연전에서도 공세적 성향을 취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단순한 후퇴를 위한 지연전이 아닌 목적한 시간 내의 지연전이기에 때에 따라서는 적극적인 공세를 취했던 것이다. 고대에도 이곳 화령 일대를 두고 치열한 공방전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화령장전투전적비 앞에서 북으로 바라보면 상주시 화서면의 진산 봉황산(740.8m)이 보인다.

 

화서면 달천리 옥성 마을 부근에서 바라본 화령고성(노고산성). 답사는 못했지만 사진에서는 낮은 구릉들 뒤 중간 높이의 능선 중에서 오른쪽 산 봉우리가 화령고성이다. 올 11월에나 올라야겠다. 산성 답사 특히 야산의 산성은 초록이 짙어가는 계절에 들어갔다가는 낭패보는 일이 허다하다. 참고삼아 말하면 산성 답사로 제격인 계절은 11월에서 4월까지다. 시간이 짧은게 흠이지만...

 

중간 능선의 오른쪽 화령고성, 뒷 능선의 우측산이 원통산(596.9m)이다.

 

화령고성 전경. 화령고성 앞으로는 화서면에서 화동면, 황간면으로 가는 49번 국가지원지방도가 지나간다. 고성 앞에는 화서면 율림리 장림마을이 있다. 이곳에는 조선의 장림역이 있었다. 화령고성은 화서면 봉촌리와 율림리의 경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