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동 성재산성 : 신라 조비천현의 치소인가?(1) <2014년 1월 26일> <표지사진1 - 영동 대왕산성과 성재산성 사이에서 바라본 성재산성 전경> - 조천성은 7C 중반 신라와 남부여간의 최대 화약고이다 필자는 <조천성전투(2011.3.11 답사)> 글에서 조천성 전투의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 바 있다. "655년 남부여와 고구려는 신라를 .. 더보기 영동 읍성(부용리산성) : 신라 길동군의 치소 <2014년 1월 26일> <표지사진 - 신라 길동군의 치소로 추정되는 영동읍성 후면부 서벽구간> 필자는 영동 유곡리산성(고반대)을 보고 바로 영동읍으로 향했다. 영동읍에는 신라 길동군의 치소로 추정되는 영동읍성이 있다. 영동읍성은 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산 45-3번지 속칭 성.. 더보기 영동 유곡리산성 : 우두령과 도마령을 감제하던 보루성 <2014년 1월 26일> <표지사진 - 충북 영동 상촌면 유곡리 산성 전경 > 신라 소라성으로 추정되는 황간 신흥리토성이 소재한 황주동 일대를 둘러보고 물한계곡으로 유명한 상촌면으로 향한다. 상촌면 소재지에 이르자 물한계곡 들어가기 직전 경북 김천시 구성면으로 가는 901번 지방.. 더보기 영동 신흥리토성 : 신라 소라현의 치소 <2014년 1월 26일> <표지사진 - 신라 소라현의 치소였던 충북 영동군 황간면 신흥리 토성이 소재한 황주동 일대 전경> <삼국사기 잡지 지리조>를 보면, 신라 길동군(吉同郡)의 영현(領縣)은 둘인데, 조비천현(助比川縣)과 소라현(召羅縣)이 그것이다. 길동군은 지금의 영동읍 일.. 더보기 상주 화령고성 : 신라 답달비군의 치소 신라가 삼한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백두대간 이서의 삼년산성(충북 보은)과 금돌성(경북 상주)의 축조라고 할 수 있다. 삼년산성은 고구려와 백제를, 금돌성은 백제를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었던 유력한 신라의 교두보였다. 5C 중반경 신라는 당시의 자연 국경선인 백두대간을 넘어 백제를 제압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특히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고도가 제일 낮은 중화지역에 주목하곤 5C 후반 이곳을 전격 장악한다. 그리곤 중화지역 북쪽에 삼년산성을, 남쪽에는 금돌성을 쌓아 중화지역이 고립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오히려 이후 공격의 거점이 된다. 삼년산성과 금돌성은 양수겸장의 요지인 셈이다. 그럼 중화지역이란 어떤 곳인가?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 고도가 제일 낮아 고대 동서.. 더보기 상주 중모고성 : 신라 도량현의 치소 신라가 삼한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백두대간 이서의 삼년산성(충북 보은)과 금돌성(경북 상주)의 축조라고 할 수 있다. 삼년산성은 고구려와 백제를, 금돌성은 백제를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었던 유력한 신라의 교두보였다. 5C 중반경 신라는 당시의 자연 국경선인 백두대간을 넘어 백제를 제압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특히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고도가 제일 낮은 중화지역에 주목하곤 5C 후반 이곳을 전격 장악한다. 그리곤 중화지역 북쪽에 삼년산성을, 남쪽에는 금돌성을 쌓아 중화지역이 고립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오히려 이후 공격의 거점이 된다. 삼년산성과 금돌성은 양수겸장의 요지인 셈이다. 그럼 중화지역이란 어떤 곳인가? 백두대간 중에서 해발 고도가 제일 낮아 고대 동서.. 더보기 서산 개심사 : 7인의 선지식이 마음의 칼을 찾은 도량 <2014년 1월 1일> <표지사진 - 개심사 심검당> 일주문. 상왕산 개심사. 범종각 안양루 현판 해탈문이 나오고 안양루 심검당. 검이란 마음의 칼일터. 심검. 과연 인생 말년까지 내 마음의 칼을 찾을 수나 있을까? 대웅보전 명부전 절을 나오며 다시 바라본 심검당 칼은 찾았을까? 범종.. 더보기 서산 해미읍성 : 충청도 전군사령부 기지 <2014년 1월 1일> <표지사진 - 해미읍성 성벽> 진남문 순교기념비 호야나무(회화나무). 천주교 박해의 상징물이다. 옥사 동쪽으로 석문봉과 가야산 능선이 보인다. 호서좌영 <끝> 더보기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