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진안 성남리산성 : 진안에서 무주가는 금강길을 감제하던 보루성 <2014년 4월 13일> <표제사진 - 태고정에서 바라본 금강 상류 용담호와 진안 성남리산성 전경> 진안 용덕리산성과 운봉리산성 답사를 마치고 나니 성남리산성을 오르기가 싫어진다. 그래서 주변 전경만 찍었다. 정천 망향탑. 용담댐 건설로 인해 고향을 잃은 사람들이 여기서 용담.. 더보기 진안 운봉리산성 : 대가야-남부여 루트를 감제하던 산성(2) <2014년 4월 13일> <표제사진 - 운봉리산성 동북벽. 천오백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석축이 무너지지 않고 버티고 있다는 것에 감동이 절로 느껴진다.> 용덕리 산성 남쪽 직선거리 약 7km 못미처 동쪽 무주와 남쪽 진안가는 분기로를 감제하는 산성이 두 개다. 진안 운봉리산성과 와룡리.. 더보기 진안 용덕리산성 : 대가야-남부여 루트를 감제하던 보루성(1) <2014년 4월 13일> 용덕리산성 전경 백령은 남쪽 장수-진안 등 금강 상류와 섬진강 유역에서 남부여 도성인 사비로 향하는 가장 짧은 루트라고 할 수 있다. 이 루트는 통상 대가야나 왜국(구마소나 야마토)에서 이용하는 육로였다. 대가야는 육십령-장계(침령산성)-와정토성(진안 용담면.. 더보기 고령 주산성 : '황성 옛터'의 쓸쓸함만 남은 대가야 도성 고령읍의 진산은 주산(311m)이다. 주산 정상부와 능선에 내성과 외성의 이중성이 바로 고령 주산성이다. 내성은 산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9부 능선에 축조된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711m이다. 외성은 내성의 남북 양끝에서 시작하여 산 아래 6부 능선을 따라 성벽을 둘렀고 둘레는 약 1,035m이다. 주산성 건물지 주변에서는 6C 초 대가야 양식의 통형기대, 발형기대, 장경호 등이 확인되었고, 남쪽 구릉으로는 지산동 고분군과 연결되어 있어 축성 주체는 대가야로 판단된다. 한편 주산성 동쪽 구릉의 말단부에 전 대가야 궁성지가 입지하고 있어 대가야 또한 평지성과 산성의 이중 방어 개념에 충실했던 것 같다. 즉 평화시에는 평지성인 궁성에서, 위기시에는 산성인 주산성에서 외부 침입에 대비했을 것이다. 더욱이 주산성.. 더보기 고령 지산동고분군 : 대가야 왕들의 무덤 <2014년 4월 6일> <표제사진 - 대가야고분군 전경> 경북 고령 대가야박물관은 가끔 가지만, 언제고 갈 수 있다는 생각에 정작 대가야고분군과 주산성을 답사한 적이 없었다. 제사 지내고 동생과 함께 고모, 숙부님 내외 배웅해 드리고 의령에서 바로 대전을 가지 않고 고령에 들려 .. 더보기 대전 구봉산 : 황산벌 가는 대전 남부 루트를 가른 산 <2012년 3월 31일> <표제사진 - 구봉산에서 바라본 노루벌과 갑천> 신라군이 옥천 관산성에서 힘들게 식장산의 산성과 보루들을 넘어온다고 해도 사비의 동쪽 벌판인 황산벌까지 오려면 다시 대전 남부 루트의 수 많은 관문(산성)들을 거쳐야 한다. 첫번째 관문 : 보문산(보문산성).. 더보기 대전 도솔산 : 갑천과 대전천(유등천)의 분수령 <2011년 11월 20일> <표제사진-도솔산 정상 북록에서 바라 본 관암지맥 상의 수양산(315m)과 금병산. 관암지맥은 갑천의 북벽을 이룬다.> 2011년 어느 늦가을 휴일. 일 때문에 대전에만 있다보니 자연 주말에는 대전 시내 산을 찾게 되는 것 같다. 오늘은 도솔산(207m)을 올랐다. 대전 도.. 더보기 대전 비파산성 : 대전 남부루트를 보호하던 남부여 산성 <2013년 4월 28일> <표제사진-비파사성 동북벽 아래 절벽 위에서 바라본 식장산> 식장산은 대전의 진산으로 그 남북 능선(식장지맥)은 대전의 동벽을 완벽하게 이루고 있다. 고대 식장산 능선은 동쪽 옥천의 관산성이 신라의 손에 들어가자 남부여는 식장산 능선으로 동부전선을 형.. 더보기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