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최치원 선생이 가야산으로 들어가다 <2011년 2월 28일> 표지사진 - 쌍계 계곡의 서쪽 암벽에 새겨진 마애금석문 최치원(崔致遠)의 자(字)는 고운(孤雲)[또는 해운(海雲)이라고도 하였다]인데 서울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다. 역사에 전하는 기록이 없어져 그 세계(世系)를 알 수 없다. 치원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였다. 나이.. 더보기
비사벌국(3) : 비자화에 피어난 가야 폴리스 <2011년 3월 13일> ~ 비사벌국(2)에서 계속 ~ 표지사진 - 진흥왕 척경비와 화왕산 화왕산 입구 자하곡 자하곡에서 내려오는 개천을 따라 진흥왕척경비 보러가는 도중에 본 건물 창녕김씨 종친회 건물이란다. 70년대 하늘도깨비 옛날 집하고 비슷해서 한번 찍어 보았다. 드디어 진흥왕 척경비가 보인다... 더보기
비사벌국(2) : 비자화에 피어난 가야 폴리스 <2011년 3월 13일> ~ 비사벌국(1)에서 계속 ~ 표지사진 - 목마산성에 바라 본 창녕읍 전경. 고대 비사벌이다. <삼국사기 잡지 지리지 화왕군 조>를 보면, 지금의 창녕은 신라시대 화왕군이나 본래 이름은 비자화군 내지 비사벌로 불렸다고 한다. 대구의 고대어인 달구벌을 달구화로 표기하듯 비자.. 더보기
비사벌국(1) : 비자화에 피어난 가야 폴리스 <2011년 3월 13일> 표지사진 - 창녕박물관 뒤 교동고분군 대구시 남쪽에는 경북 청도군이 있다. 고대에 청도에는 이서국이 있었다. 이서국은 서라벌의 금성을 위협하는 절대강자였다. 하지만 이서국은 유례이사금 14년(297년)에 금성을 공격하다가 역습당하여 멸망한 것으로 <삼국사기>에 전해지.. 더보기
영동 영국사 : 천년된 은행나무는 몇 번을 울었을까? <2010년 9월 29일> 표지사진 - 영국사 은행나무 영국사가 보고 싶다는 모님의 요청 때문에 사진을 올립니다. 사진은 별로지만 즐감하세요! 더보기
장수 거녕산성(봉서리산성) : 백제 거사물현의 치소 <2011년 3월 6일> <표지사진 - 거녕성에 바라 본 남원시 보절면 들판과 요천의 북벽을 이루며 서남방으로 주행하는 천황지맥의 능선. 지맥의 좌측 제일봉이 천황산(909.6m)이다.> <삼국사기 잡지 지리지 임실군 조>에 따르면 임실군의 영현으로 마돌현과 거사물현이 있다. 임실군.. 더보기
남원 척문리산성 : 운봉고원에서 요천으로 침공하려는 신라군을 방어하라 <2011년 3월 6일> 표지사진 - 섬진강의 지류인 요천에서 바라 본 남원 척문리산성 전경 고대 섬진강 상류 유역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낙동강의 지류인 남강 유역으로 가는 길은 크게 세가지 루트가 있었다. 하나는 장수 장계분지에서 백두대간 상의 육십령을 넘어 함양으로 가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 더보기
조천성 전투 : 7C 중반 신라와 남부여간의 최대 화약고 <2011년 3월 1일> 표지사진 -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고분 655년 남부여와 고구려는 신라를 일시에 공격한다. 일종의 군사공조였다. 이때 신라는 33성이 함락되어 위기를 맞는다. 무열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한다. 당나라는 화답하고 곧바로 고구려를 공격한다. 이에 신라는 .. 더보기